맨위로가기

파리 메트로 4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리 메트로 4호선은 프랑스 파리 지하철 노선 중 하나로, 1908년 개통되어 센 강을 통과하는 최초의 노선이다. 4호선은 여러 차례 연장 및 기술적 변화를 거쳐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2023년 12월부터 완전 무인 열차로 운행된다. 총 12.1km의 노선에 27개 역이 있으며, 파리 북역, 시테 섬, 라틴 구역 등 주요 시설과 관광 명소를 연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리 메트로 4호선 - 파리 북역
    파리 북역은 프랑스 북부 철도의 터미널역으로서 유럽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국제 노선과 프랑스 국내선, 다양한 도시 철도 노선을 운영하며, 승객 수 증가에 따라 확장 및 재개발을 진행 중인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 철도역이다.
  • 190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고노선
    고노선은 JR 동일본이 운영하는 아키타현 히가시노시로역과 아오모리현 가와베역을 잇는 147.2km의 단선 비전철화 철도 노선으로, 1936년 개칭되었으며 해안을 따라 GV-E400계 기동차가 운행되고, 센보쿠이와 터널을 포함한다.
  • 190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요코하마선
    요코하마선은 히가시카나가와역과 하치오지역을 잇는 42.6km의 동일본 여객철도 노선으로, 복선 및 전철화되어 있으며, 1908년 개통되어 현재 E233계 전동차가 운행된다.
파리 메트로 4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MP 89CA 및 CC가 시테역에 도착함.
MP 89CA 및 CC가 시테역에 도착함.
노선 이름4호선
노선망파리 메트로
개통 연도1908년
종착역포르트 드 클리냥쿠르
바뉴-뤼시 오브라크
운영 기관파리 교통 공단
운행 시스템자동 (SAET)
사용 차량MP 89CA
(2023년 6월 5일 현재 21대 운행)
MP 05
(2023년 2월 10일 현재 11대 운행)
MP 14
(2024년 2월 12일 현재 18대 운행)
역 수29
노선 길이13.9 km
궤간1,435 mm
차륜 간 거리
전력 공급직류 750 볼트, 선로 양쪽에 가이드 바
연간 승객 수1억 7100만 명
교통량 순위2위/16개 노선
연결 노선


파리 메트로 4호선 노선도 (2022-01)
지리적으로 정확한 노선도
기타 정보
일본어 정보
노선명4호선
노선색#bb4b9c
노선망파리 메트로
기점포르트 드 클리냥쿠르 역
종점바뉴=뤼시 오블라크 역
역 수29
개업1908년
운영자파리 교통 공단
노선 거리13.9 km
궤간1,435 mm
선로 수복선
전철화 방식직류 750V
지리적으로 정확한 노선도
지리적으로 정확한 노선도
한국어 정보
노선명파리 메트로 4호선
배경색#b93b8f
체계파리 메트로
상태영업 중
기점포르트 드 클리냥쿠르 역
일드프랑스 파리
종점포르트 드 오를레앙 역
일드프랑스 파리
역 수26
개통일1908년
운영자파리 교통 공단
실거리10.6 km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2
전철화제3궤조
직류 750 V

2. 역사

1908년 4월 21일 파리 메트로 4호선의 첫 구간인 포르트 드 클리냥쿠르와 샤틀레 사이 구간이 개통되었다.[3] 1909년 10월 30일에는 포르트 도를레앙과 라스파이유 사이의 남쪽 구간이 개통되었다.[4] 이 두 구간은 1910년 1월 9일 샤틀레와 라스파이유를 잇는 터널을 통해 연결되었고, 4호선은 센 강을 지하로 통과하는 최초의 노선이 되었다.[3]

4호선의 초기 폐선 구간(검정색)과 실제 건설된 구간(빨간색) (Île de la Cité)을 지나는 노선도.


4호선은 원래 루브르 거리 아래를 지나 센 강 아래, 프랑스 학술원 아래를 지나 포르트 도를레앙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3] 그러나 오스만의 파리 개조 계획으로 인한 공사 지연과 프랑스 학술원 아래로 노선이 통과하는 것에 대한 학자들의 반대로 인해, 노선은 샤틀레 광장과 시테 섬을 통해 동쪽으로 변경되었다.[3]

1905년 레옹 샤뇨의 회사에서 센 강 지하 통과 공사를 시작했다.[3] 금속 케이슨을 강둑에 설치하여 강바닥에 가라앉히는 방식을 사용했다. 센 강 북쪽 물줄기에는 3개, 남쪽 물줄기에는 2개의 케이슨이 필요했다.[3] 또한 생-미셸역과 센 강 사이의 포화된 토양을 동결시키는 작업도 진행되었다.[3]

1910년 1월, 세기 최악의 홍수로 인해 센 강 수위가 범람하면서 4호선 운행이 중단되었다.[3] 2월 동안 홍수 수위가 낮아지면서 점진적으로 운행이 재개되었지만, 4월 6일이 되어서야 완전한 운행이 재개되었다.[3]

1960년대 초, 4호선은 혼잡한 노선이었다. 1967년 고무차륜 열차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궤도를 개조했다. MP 59 차량이 기존의 강철 바퀴 스프라그-톰슨 차량을 대체했다.[10] 1965년 10월 초, 열차 길이를 5량에서 6량으로 늘리기 위해 역의 길이를 확장했고, 1966년 10월 3일, MP 59 전동차로 구성된 첫 번째 6량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1967년 7월 17일, 마지막 강철 차륜 열차가 운행을 종료했다.[10]

1971년 2월, 4호선은 "그리크"(Grecque) 시스템을 도입하여 반자동 운전을 시작했다. 이 시스템을 통해 열차는 운전자가 출발 신호를 보내면 자동으로 다음 역까지 운행하여 정차할 수 있었다.[11] 1977년 10월 3일, 레 알 역이 새로운 RER 네트워크와의 환승을 위해 재건되었다.[12]

MP 59 고무 차륜 열차


1930년경에는 M4계 차량이 사용되었으며, 고무차륜 방식으로 교체되기 전까지 300만 킬로미터 이상을 주행했다. 1966년 10월부터 1967년 7월까지 MP59계 차량으로 교체되었다. 1997년에는 1호선에 MP89계 차량이 도입되면서 1호선에서 사용하던 MP59계 차량이 4호선으로 이동했다.

2013년 3월 23일, 마리 드 몽루주까지의 연장 구간이 개통되면서 4호선은 개통 이후 처음으로 연장되었다.[14] 2011년에는 4호선의 MP 59 전동차의 수명이 다해가면서 차량 갱신 필요성이 커졌다. RATP는 1호선의 MP 59를 MP 89CC 차량으로 교체할 수 있었다. 2010년 야간에 MP 89 시험 운행이 이루어졌고, 2011년 4월 첫 번째 열차가 4호선으로 이전되어 5월 23일에 운행을 시작했다.[14] 2012년 12월 21일, 마지막 MP 59가 45년간의 운행을 마치고 퇴역했다.[14]

몽루주 시청


마리 드 몽루주 개통 이후, 남쪽으로 1.8km를 연장하여 몽루주와 바뇌 경계에 바르바라역과 바뇌-뤼시 오브락역을 신설하는 계획이 추진되었다. 2014년에 착공하여[15] 2022년 1월 13일에 개통되었다.[1]

파리 메트로 1호선과 마찬가지로 4호선도 자동화 시스템으로 전환되었다.[17] 2016년 지멘스가 자동화 계약을 수주했으며,[19] 2022년 9월 12일 최초의 자동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2023년 12월 15일 운전사 운전 서비스가 종료되었고, 12월 16일부터 완전 무인 열차로 운행된다.[20]

일 드 프랑스 지역은 생투앙의 "부두"까지 북쪽으로 연장하는 계획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 연장은 생투앙 시청을 경유하며, 파리 메트로 4호선은 13호선의 생드니 지선 및 14호선과 연결될 예정이다.[21]

2. 1. 초기 역사 (1908년 ~ 1910년)

1908년 4월 21일, 파리 메트로 4호선의 첫 구간인 포르트 드 클리냥쿠르와 샤틀레 사이 구간이 개통되었다.[3] 1909년 10월 30일에는 포르트 도를레앙과 라스파이유 사이의 남쪽 구간이 개통되었다.[4] 이 두 구간은 1910년 1월 9일에 샤틀레와 라스파이유를 잇는 새로운 터널을 통해 연결되면서, 4호선은 센 강을 지하로 통과하는 최초의 노선이 되었다.[3]

4호선은 원래 루브르 거리 아래를 지나 센 강 아래, 프랑스 학술원 아래, 렌느 거리와 라스파유 대로를 따라 포르트 도를레앙까지 이어지는 직선 노선으로 계획되었다.[3] 그러나 오스만의 파리 개조 계획으로 인한 렌느 거리 연장 공사 지연과 프랑스 학술원 아래로 노선이 통과하는 것에 대한 학자들의 반대로 인해, 노선은 샤틀레 광장과 시테 섬을 통해 동쪽으로 변경되었다.[3] 또한 가르 몽파르나스를 경유하는 임시 우회 노선이 결정되었으나, 라스파유 대로 완공 후에는 바뱅역 남쪽에서 라스파유 대로를 따라 최종 노선이 제공될 예정이었다.[4][5] 그러나 이 노선이 세 개의 주요 간선 역을 운행하는 가치가 더 크다고 판단되어 이 제안은 폐기되었다.[5]

1905년, 레옹 샤뇨의 회사에서 센 강 지하 통과 공사를 시작했다.[3] 금속 케이슨을 강둑에 설치하여 강바닥에 가라앉히는 방식을 사용했다.[3] 센 강 북쪽 물줄기에는 3개, 남쪽 물줄기에는 2개의 케이슨이 필요했다.[3] 또한 생-미셸역과 센 강 사이의 포화된 토양을 동결시키는 작업도 진행되었다.[3]

1910년 1월, 세기 최악의 홍수로 인해 센 강 수위가 범람하면서 4호선 운행이 중단되었다.[3] 샤틀레 역과 강 아래 횡단 구간이 침수되었고, 홍수는 가르 드 레스트까지 이르렀다.[3] 2월 동안 홍수 수위가 낮아지면서 점진적으로 운행이 재개되었지만, 4월 6일이 되어서야 완전한 운행이 재개되었다.[3]

2. 2. 20세기 주요 변화 (1930년대 ~ 2000년대)

1960년대 초, 파리 메트로 4호선은 저녁 시간대에 수용량의 140%를 넘는 혼잡한 노선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67년 고무차륜 열차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궤도를 개조했다. MP 59 차량이 기존의 강철 바퀴 스프라그-톰슨 차량을 대체했다.[10]

1965년 10월 초, 열차 길이를 5량에서 6량으로 늘리기 위해 역의 길이를 확장했다. 1966년 10월 3일, MP 59 전동차로 구성된 첫 번째 6량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4호선의 MP 59 차량은 556량(동력차 376량, 객차 180량)으로 구성되었다. 1967년 7월 17일, 마지막 강철 차륜 열차가 운행을 종료했다.[10]

1971년 2월, 4호선은 11호선에 이어 "그리크"(Grecque) 시스템을 도입하여 반자동 운전을 시작했다. 이 시스템을 통해 열차는 운전자가 출발 신호를 보내면 자동으로 다음 역까지 운행하여 정차할 수 있었다.[11]

1977년 10월 3일, 레 알 역이 새로운 RER 네트워크와의 환승을 위해 재건되었다. 샤틀레 – 레알 RER 역과의 연결을 개선하기 위해 레알 역을 동쪽으로 약 10미터 이동했다. 이를 위해 330미터의 터널을 새로 건설했다.[12]

1930년경에는 M4계 차량(일명 "Sprague-Thomson")이 사용되었으며, 고무차륜 방식으로 교체되기 전까지 300만 킬로미터 이상을 주행했다. 1966년 10월부터 1967년 7월까지 MP59계 차량으로 교체되었다. 1997년에는 1호선에 MP89계 차량이 도입되면서 1호선에서 사용하던 MP59계 차량이 4호선으로 이동했고, 11호선에서는 MP55계 차량 운행이 종료되었다.

현재는 1호선의 자동 운전화에 따라 2011년부터 2012년까지 1호선에서 넘어온 MP89계 차량으로 운행되고 있다.

MP 59계 차량은 4호선에서 6량 편성으로 운행되었으며, 과거에는 1등차와 2등차가 혼합된 형태였다. (국철의 형식 칭호에 따르면 [쿠모하] - [모하] - [사로] - [사로하] - [모하] - [쿠모하]) 현재는 1등차가 폐지되어 모두 2등차로 운행된다.

2. 3. 최근 연장 및 자동화 (2011년 ~ 현재)

2013년 3월 23일, 마리 드 몽루주까지의 연장 구간이 개통되면서 4호선은 개통 이후 처음으로 연장되었다.[14] 이 역은 전통적인 2선식 역으로, 몽루주에서 클리냥쿠르까지 30분 만에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14]

2011년에는 4호선의 MP 59 전동차의 수명이 다해가면서 차량 갱신 필요성이 커졌다. 파리 메트로 1호선의 자동화와 새로운 자동화 차량(MP 05) 도입으로, RATP는 1호선의 MP 59를 MP 89CC 차량으로 교체할 수 있었다. 2010년 야간에 MP 89 시험 운행이 이루어졌고, 2011년 4월 첫 번째 열차(#01)가 4호선으로 이전되어 5월 23일에 운행을 시작했다.[14] 2012년 12월 21일, 마지막 MP 59 (#6021)가 45년간의 운행을 마치고 퇴역했다.[14]

마리 드 몽루주 개통 이후, 남쪽으로 1.8km를 연장하여 몽루주와 바뇌 경계에 바르바라역과 바뇌-뤼시 오브락역을 신설하는 계획이 추진되었다. 2014년에 착공하여[15] 2022년 1월 13일에 개통되었다.[1] 2025년에는 바뇌-뤼시 오브락역이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의 파리 메트로 15호선과 연결될 예정이다.[16]

파리 메트로 1호선과 마찬가지로 4호선도 자동화 시스템으로 전환되었다.[17] 2016년 지멘스가 자동화 계약을 수주했으며,[19] 2022년 9월 12일 최초의 자동 열차(MP 89, MP 05, MP 14) 운행이 시작되었다. 2023년 12월 15일 운전사 운전 서비스가 종료되었고, 12월 16일부터 완전 무인 열차로 운행된다.[20]

2. 4. 향후 계획

일 드 프랑스 지역의 2007년부터 2013년까지의 제1단계 ''일 드 프랑스 지역 개발 계획''(SDRIF)은 2008년 9월 25일 일 드 프랑스 지역 의회의 결의로 채택되었으며, 센 강 옆의 도시 재개발 프로젝트인 생투앙의 "부두"까지 북쪽으로 연장하는 계획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 연장은 생투앙 시청을 경유하며, 파리 메트로 4호선은 13호선의 생드니 지선 및 14호선과 연결될 예정이다.[21] 그러나 아직 자세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으며, 자금도 확보되지 않았다.

  • 남쪽 방향

:몽루주바뉴 방면으로의 연장 계획이 2005년 2월에 발표되었다. 2006년 6월에 착공하여, 몽루주 방면은 메리 드 몽루주역까지 2013년 3월에 일부 개통되었다. 더 나아가 바뉴 방면으로 연장되어, 바뉴-뤼시 오블라크역까지 2022년 1월에 개통되었다.

  • 북쪽 방향

: 마리 드 생투앙(생투앙) 방면으로의 연장이 SDRIF(일드프랑스 지역 개발 계획)의 계획 2단계(2013년부터 2020년까지 달성해야 할 계획)에 채택되었다.

3. 노선 특징

RER B선, RER D선, RER E선
트랑지리앵 H선, K선
TER 피카르디파리 10구{{lang5호선, 7호선
트랑지리앵 P선
TER 피카르디, TER 샹파뉴-아르덴{{lang{{lang8호선, 9호선파리 2구, 파리 3구, 파리 10구{{lang3호선파리 2구, 파리 3구{{lang파리 1구, 파리 2구{{langRER A선, RER B선, RER D선파리 1구, 파리 4구{{lang1호선, 7호선, 11호선, 14호선{{lang{{langRER C선파리 5구, 파리 6구{{lang10호선파리 6구{{lang{{lang{{lang{{lang6호선, 12호선, 13호선
트랑지리앵 N선
TER 상트르, TER 바스노르망디파리 6구, 파리 14구, 파리 15구{{lang파리 6구, 파리 14구{{lang6호선파리 14구{{lang6호선
RER B선{{lang{{lang{{lang3호선{{lang오드센주몽루주{{lang{{lang15호선 (2024-2025)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바뉴


3. 1. 기술 정보



파리 메트로 4호선 노선도


1956년 11호선에서 고무 차륜에 대한 실험을 통해 RATP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이에 따라 더 나은 가속 및 감속을 제공하여 노선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고무 차륜 운영을 위해 1호선과 4호선을 개조하기로 결정했다.

1960년대 초, 이 두 노선은 저녁 시간대에 용량의 140%를 넘는 부하로 네트워크에서 가장 붐비는 노선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경만으로는 포화를 극복하기에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역의 길이는 75m에서 90m로 늘어나 열차의 길이를 5량에서 6량으로 늘릴 수 있었다. 이 작업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1965년 10월 초에 6량 열차가 노선을 운행했다. 1966년 10월 3일, MP 59 전동차로 구성된 첫 번째 열차가 노선에서 운행되었다. 4호선 열차는 1호선과 동일하며, 열차당 4개의 전동차와 2개의 객차로 구성되었다. 4호선의 MP 59 차량은 556량으로 구성되었으며, 376량의 동력차와 180량의 객차가 포함되었다. 1967년 7월 17일, 마지막 강철 차륜 열차가 노선을 떠나 1914년 이전에 제작된 100대의 차량을 다른 노선의 서비스 강화를 위해 폐기했다.[10] 1971년 2월, 4호선은 11호선에 이어 "그리크"(Grecque)로 알려진 시스템을 갖춘 반자동 운전을 도입한 두 번째 노선이었다. 이를 통해 열차는 운전자가 출발하면 자동으로 운행하여 다음 역에 정차할 수 있었다.[11]

개통 이후 노선의 유일한 변경 사항은 1977년 10월 초에 레알 역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노선이 우회한 것이다. 거대한 레알 단지 발굴 과정에서 레알 역은 샤틀레 – 레알 RER 역과의 더 짧은 연결을 위해 동쪽으로 약 10미터 이동했다. 이를 위해 기존 노선에 연결하기 위해 330m의 터널이 건설되었다. 변경은 1977년 9월 30일 금요일 오후 10시부터 10월 3일 월요일 운행 시작까지 3일 밤 연속으로 진행되었다. 첫날 밤에는 새로운 2번 선로가 연결되었고, 둘째 날 밤에는 새로운 1번 선로가 건설되었으며, 마지막 날 밤에는 연결되었다.[12]

2005년 8월 6일 오후 4시 42분, 차단기 오작동으로 인해 샹플롱 역에서 발생한 열차 화재로 19명이 경미한 피해를 입었다. 화재는 오후 6시경 소방관에 의해 진압되었다.[13]

파리 메트로 4호선에서 사용해온 철도차량은 다음과 같다.

2013년 3월까지 4호선의 MP 89CC 전동차에 대한 경정비는 포르트 도를레앙역 (CDT) 내에서 이루어졌다. 포르트 도를레앙역 2번 승강장(포르트 드 클리냥쿠르역 방향)에는 기본적인 경정비 작업과 1단계 고장 수리를 할 수 있는 검사 구덩이가 있다. 포르트 도를레앙역과 포르트 드 클리냥쿠르역에는 야간에 열차를 보관할 수 있는 회차선이 있지만, 차고 부족으로 인해 많은 열차가 주요 터널 내에 보관된다. 이러한 방식은 신설 역인 마리 드 몽루주역 남쪽에 새로운 차고가 문을 열면서 변경되었다. 포르트 도를레앙역 3번 선로는 새로운 역 진입로를 만들기 위해 철거될 예정이다.

2단계 정비는 포르트 드 클리냥쿠르역 종점(및 북쪽 회차선) 바로 북쪽에 위치한 생투앙 정비창에서 이루어진다. 이 시설은 34000m2 면적에 달하며 1908년에 개장했다. 정비창은 정기적인 정비(AMT)를 받는 MP 89CC 전동차를 수용하기 위한 최근 확장 공사를 포함하여 수년에 걸쳐 개조 및 확장되었다.

생투앙 정비창은 MP 89CC 전동차 정비 외에도 7호선, 8호선, 13호선의 MF 77 강철 차륜 열차의 중정비 및 대수선을 처리하며, 다수의 보조/운행 열차도 취급한다. 또한 모든 네트워크 하드웨어의 전자 장비 검토를 전문으로 한다. 2007년 기준으로 60명의 직원이 열차 정비에, 220명이 장비 유지보수에 배정되어 있다.

MP 89CC 전동차의 모든 중정비 작업은 1호선의 샤토 드 뱅센역 종점 바로 동쪽에 위치한 퐁트네 정비창에서 이루어진다.

3. 2. 센 강 통과 및 건설

1908년에 개통된 4호선은 파리 지하철 노선 중 최초로 센 강을 지하로 통과하는 노선이었다. 원래는 루브르 거리 아래, 센 강 아래를 지나 프랑스 학술원 아래, 렌느 거리와 라스파유 대로를 따라 포르트 도를레앙까지 이어지는 직선 노선으로 계획되었다.[3]

하지만 오스만의 파리 개조 계획에 따른 렌느 거리 연장 공사 지연과 학자들의 반대로 인해, 노선은 샤틀레 광장과 시테 섬을 지나는 경로로 변경되었다.[3] 또한 가르 몽파르나스를 경유하는 임시 우회로가 결정되었으나, 이후 이 노선이 세 개의 주요 간선 역을 운행하는 가치가 더 커짐에 따라 우회 계획은 폐기되었다.[4],[5]

1905년 레옹 샤뇨의 회사에서 공사를 시작하여, 4호선은 센 강을 지하로 통과하는 최초의 노선이 되었다. 강 아래 통과에는 금속 케이슨 방식이 사용되었는데, 강둑에 설치된 길이 20~40미터의 케이슨을 강바닥에 수직으로 가라앉혔다. 케이슨 하단에는 가압된 공기로 채워진 챔버를 만들어 작업자들이 케이슨 아래를 굴착할 수 있도록 했다. 센 강 북쪽 물줄기에는 3개, 남쪽 물줄기에는 2개의 케이슨이 사용되었다.

생-미셸역과 센 강 사이 구간에서는 포화된 토양을 동결시키는 작업도 진행되었다. 두 개의 냉동 설비를 설치하여 염수를 -25°C로 냉각시켜 토양을 안정시켰다.

북쪽 구간은 1908년 4월 21일 포르트 드 클리냥쿠르에서 샤틀레까지, 남쪽 구간은 1909년 10월 30일 포르트 도를레앙에서 라스파이유까지 개통되었다. 두 구간은 1910년 1월 9일에 연결되었으나, 1910년 파리 대홍수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4월 6일에야 완전 재개되었다.

3. 3. 역 목록 및 테마

RER B선, RER D선, RER E선
트랑지리앵 H선, K선
TER 피카르디파리 10구{{lang5호선, 7호선
트랑지리앵 P선
TER 피카르디, TER 샹파뉴-아르덴{{lang {{lang8호선, 9호선파리 2구, 파리 3구, 파리 10구{{lang3호선파리 2구, 파리 3구{{lang 파리 1구, 파리 2구{{langRER A선, RER B선, RER D선파리 1구, 파리 4구{{lang1호선, 7호선, 11호선, 14호선{{lang {{langRER C선파리 5구, 파리 6구{{lang10호선파리 6구{{lang {{lang {{lang {{lang6호선, 12호선, 13호선
트랑지리앵 N선
TER 상트르, TER 바스노르망디파리 6구, 파리 14구, 파리 15구{{lang 파리 6구, 파리 14구{{lang6호선파리 14구{{lang6호선
RER B선{{lang {{lang {{lang3호선{{lang 오드센주몽루주{{lang {{lang15호선 (2024-2025)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바뉴



4호선은 3bis선(3bis)·7bis선(7bis)을 제외한 모든 파리 메트로 및 RER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각 역에는 특별한 테마가 있다.



시테역 및 생 미셸역은 역 구조가 다른 역과 다르다. 계단 및 엘리베이터(승객 조작 불가, 일정 시간 간격 자동 운행)로 플랫폼에서 수직으로 지상으로 나간다. 시테역은 조명이 전체적으로 녹색이다.

2000년대 초, SIEL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4. 사회문화적 영향

4호선은 파리의 여러 중요한 지역과 시설을 연결하며, 파리 시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지역, 역사적인 장소, 대학가, 쇼핑가 등을 연결하여 파리의 사회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한다.

바르베스와 고트 도르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영향을 받은 지역으로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곳이다. 가르 뒤 노르와 가르 드 레스트는 19세기에 지어진 기차역으로 파리의 관문 역할을 한다. 시테 섬과 노트르담 대성당은 파리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장소이다. 생 미셸과 라틴 구역은 소르본 대학을 비롯한 여러 교육 기관이 밀집해 있는 젊음과 활기가 넘치는 대학가이다.

생 제르맹 데 프레 지구는 교회와 유명한 카페들이 있는 역사적인 지역이며, 렌 거리는 다양한 상점들이 모여 있는 쇼핑가이다. 룩셈부르크 정원은 파리 시민들의 휴식처이자 아름다운 정원이며, 몽파르나스는 유명한 카페, 가르 몽파르나스, 몽파르나스 타워 등이 있는 지역이다.

페이스북 그룹인 대중교통 지향 청소년을 위한 신도시 계획 밈에 따르면, 4호선(M4)은 ''던전 앤 드래곤(D&D) 정렬 시스템에서 "혼돈 선"으로 간주된다.[22][23]

4. 1. 주요 시설 연결

4호선은 여러 관광 명소와 주요 시설을 연결하여 파리 시민과 관광객에게 중요한 교통 수단 역할을 한다.

역명접속 노선 (비고)소재지
포르트 드 클리냥쿠르 (Porte de Clignancourt프랑스어) 파리 18구
심플롱역 (Simplon프랑스어) 파리 18구
마르카데-푸아소니에역 (Marcadet - Poissonniers프랑스어)12호선파리 18구
샤토 루즈역 (Château Rouge프랑스어) 파리 18구
바르베-로슈슈아르역 (Barbès - Rochechouart프랑스어)2호선파리 9구, 파리 10구, 파리 18구
파리 북역 (Gare du Nord프랑스어)5호선, RER B선, RER D선, RER E선, 트랑지리앵 H선, 트랑지리앵 K선, TER 피카르디파리 10구
파리 동역 (Gare de l'Est프랑스어)5호선, 7호선, 트랑지리앵 P선, TER 피카르디, TER 샹파뉴-아르덴파리 10구
샤토 도역 (Château d'Eau프랑스어) 파리 10구
스트라스부르-생-드니역 (Strasbourg - Saint-Denis프랑스어)8호선, 9호선파리 2구, 파리 3구, 파리 10구
레오뮈르-세바스토폴역 (Réaumur - Sébastopol프랑스어)3호선파리 2구, 파리 3구
에티엔 마르셀역 (Étienne Marcel프랑스어) 파리 1구, 파리 2구
레알역 (Les Halles프랑스어)RER A선, RER B선, RER D선파리 1구, 파리 4구
샤틀레역 (Châtelet프랑스어)1호선, 7호선, 11호선, 14호선파리 1구, 파리 4구
시테역 (Cité프랑스어) 파리 1구, 파리 4구
생 미셸역 (Saint-Michel프랑스어)RER C선파리 5구, 파리 6구
오데옹역 (Odéon프랑스어)10호선파리 6구
생 제르맹 데 프레역 (Saint-Germain-des-Prés프랑스어) 파리 6구
생 쉴피스역 (Saint-Sulpice프랑스어) 파리 6구
생 플라시드역 (Saint-Placide프랑스어) 파리 6구
몽파르나스-뱅브뉘역 (Montparnasse - Bienvenüe프랑스어)6호선, 12호선, 13호선, 트랑지리앵 N선, TER 상트르, TER 바스노르망디파리 6구, 파리 14구, 파리 15구
바뱅역 (Vavin프랑스어) 파리 6구, 파리 14구
라스파유역 (Raspail프랑스어)6호선파리 14구
덩페르-로슈로역 (Denfert-Rochereau프랑스어)6호선, RER B선파리 14구
무통-뒤베르네역 (Mouton-Duvernet프랑스어) 파리 14구
알레시아역 (Alésia프랑스어) 파리 14구
포르트 도를레앙역 (Porte d'Orléans프랑스어)3호선파리 14구
메리 드 몽루주역 (Mairie de Montrouge프랑스어) 몽루주
바르바라역 (Barbara프랑스어) 몽루주
바뉴-뤼시 오브락역 (Bagneux - Lucie Aubrac프랑스어)15호선 (2024-2025)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바뉴


4. 2. 대중문화

페이스북 그룹인 대중교통 지향 청소년을 위한 신도시 계획 밈에 따르면, 4호선(M4)은 ''던전 앤 드래곤(D&D) 정렬 시스템에서 "혼돈 선"으로 간주된다.[22][23]

참조

[1] 웹사이트 Après 45 ans d'attente, la ligne 4 du métro arrive «enfin» à Bagneux ! https://www.leparisi[...] 2022-01-13
[2] 웹사이트 "[SYMBIOZ] - Forum - Prolongement & automatisation de la ligne 4" https://www.symbioz.[...] 2021-02-15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웹사이트 Historique du métro (History of the metro) http://www.stif.info[...] Syndicat des transports d'Île-de-France 2009-09-18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웹사이트 L'incendie de deux rames de métro de la ligne 4 à la station Simplon le 6 août 2006 http://www.bea-tt.eq[...] Bureau d'Enquêtes sur les Accidents de Transport Terrestre 2009-09-18
[14] Webarchive La ligne 4 arrive à Montrouge - RATP http://www.ratp.fr/f[...]
[15] 뉴스 M4 extension to Bagneux https://www.ratp.fr/[...] 2018-04-18
[16] 웹사이트 Ligne 15 Sud https://www.societed[...] 2022-01-13
[17] 웹사이트 RATP cleared to automate Paris metro Line 4 - Railway Gazette http://www.railwayga[...]
[18] 뉴스 La RATP prépare l'automatisation de la ligne 4 du métro parisien http://www.lefigaro.[...]
[19] 뉴스 Siemens to equip Line 4 of the Metro Paris for driverless operation http://www.siemens.c[...] Siemens.com 2016-01-07
[20] 웹사이트 Ça bouge sur la ligne 4 https://www.ratp.fr/[...] RATP.fr 2023-12-15
[21] 웹사이트 Développer le réseau pour accompagner le projet urbain (Expand the network to support urban development) http://www.sdrif.com[...] Master Plan for the Île-de-France region 2009-09-10
[22] 웹사이트 Meet the 61,000 Transit Nerds of Facebook's 'New Urbanist Memes for Transit-Oriented Teens' http://www.chicagoma[...] Tronc 2018-03-29
[23] 웹사이트 Meet the 61,000 Transit Nerds of Facebook's 'New Urbanist Memes for Transit-Oriented Teens' http://zachmortice.c[...] zachmortice.com 2018-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